땔나무와 물이 '봉급'을 뜻한 이유는? 땔나무와 물이 '봉급'을 뜻한 이유는? 중국 사람들은 자신의 봉급을 흔히 ‘신수(薪水)’라 칭한다. 여기서 ‘신(薪)’은 땔나무를 의미하고 ‘수(水)’는 말 그대로 물을 가리킨다. 바꿔 말하면 땔나무와 물을 가리켜 봉급을 지칭하는 것이다. 신수는 또 시수(柴水)라고도 하는데 불을 지펴 밥을 한다.. 자유게시판 2010.12.21
좋아하는 남자에게 과일을 던지는 까닭은? 좋아하는 남자에게 과일을 던지는 까닭은? 중국에는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에게 과일을 선물하는 오랜 풍습이 있다. 중국 고전문학작품 중에는 ‘과일을 던지다(擲果)’는 표현이 있는데, 여자가 준수한 남자를 흠모한다는 뜻이다. 또, ‘던져진 과일이 수레에 가득하다’는 표현이 나오면 그 남자가 .. 자유게시판 2010.12.21
신의 계시로 태어난 문화와 예술의 도시 신의 계시로 태어난 문화와 예술의 도시 [레저] 도시의 매력 - 스위스 동부의 고도 '상트 갈렌(St. Gallen)' 상트 갈렌 수도원의 풍경. 스위스 동부의 고도 상트 갈렌(St. Gallen). 계곡물이 시를 관통하고 산으로 둘러싸인 이 곳은 스위스 북부의 중심도시 취리히에서 차로 약 한 시간 거리다. 상트 갈렌의 중.. 자유게시판 2010.12.02
불교부터 인도의 인사까지, ‘합장(合掌)’에 담긴 의미는? 불교부터 인도의 인사까지, ‘합장(合掌)’에 담긴 의미는? 우리나라, 일본, 중국은 물론 인도나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의 승려들은 합장으로 공경의 예를 표시한다. 명승지에 관광 갔다가 승려와 마주치면 관광객조차도 합장을 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합장은 어떤 뜻으로 하는 것일까? 합장(合掌)에 .. 자유게시판 2010.11.25
차박사, 주박사…'박사' 명칭이 보편화된 까닭은? 차박사, 주박사…'박사' 명칭이 보편화된 까닭은? 현재 교육기관에서 수여하는 최고의 학위를 박사(博士)라고 한다. 철학박사, 의학박사, 문학박사, 교육학박사 등이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차나 술을 파는 사람을 가리키는 차박사(茶博士)나 주박사(酒博士)라는 말이 있다. 왜일까? 사실 박사라는 명칭.. 자유게시판 2010.11.16
선한 일념이 상서로움을 불러온다 선한 일념이 상서로움을 불러온다 글/지진(智真) 고대의 덕을 논함에, “선한 일념은 상서로움을 불러오고, 악한 일념은 광풍폭우를 몰아온다”는 말이 있다. 고대의 사람들은 또 “마음의 생각은 천체와 대응 된다”고 했다. 즉 마음은 천체이고, 대응되는 천체 우주는 대 자연의 변화와 인체 내부의 .. 전통문화 2010.11.16
행복의 과학 행복의 과학 글/레오나르도 빈티니(따지웬 과학평론가) [SOH] 모든 사람들이 행복을 갈망하지만, 행복은 숨겨진 보물처럼 보인다.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우리가 하는 모든 것, 우리의 모든 바람은 행복에 대한 깊은 열망과 관련된다. ‘행복: 인생의 가장 중요한 기술 개.. 자유게시판 2010.11.08
사찰에서는 왜 종을 108번 칠까? 사찰에서는 왜 종을 108번 칠까? 당나라 시인 장계(張繼)가 지은 풍교야박(楓橋夜泊·풍교에서 밤에 배를 대다)이란 시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月落烏啼霜滿天(월락오제상만천) 달 지고 까마귀 울어 하늘 가득 서리가 내려 江楓漁火對愁眠(강푸어화대수면) 강가의 단풍과 고깃배 불빛을 보며 시름 속.. 자유게시판 2010.11.06
천상의 악기, 비파 천상의 악기, 비파 [SOH] 하늘의 선녀가 사는 곳을 상상할 수 있다면, 비파의 유래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비파는 천상의 존재들이 천국의 순수함과 정결함을 인간들에게 전하는 성스런 악기다. 중국은 찬란한 문명이 천상으로부터 내려온 ‘신이 전한 문화 (神傳文化)’를 갖고 있다. 한자를 비롯해 중국.. 중국문화 2010.11.06
방장, 작은 파란색 집 방장, 작은 파란색 집 글/윈와이(云外) [밍후이왕]‘방장(方丈)’은 사원에서 주지에 대한 존칭어이다. 한 평 정도 되는 방안에 주지가 기거한다는 뜻으로 스님들의 검박함을 말하는 것이다. 이 어휘는 석가모니시대에 집에서 수행하는 거사 ‘웨이모제(维摩诘)’ 의 방안을 비유한 것으로부터 생겨.. 자유게시판 2010.11.06